본문 바로가기
재태크

앱테크 하는 이유 꾸준함의 중요성

by Scintillate 2022. 6. 27.
반응형

이번 컨텐츠에서는 MZ세대들에게 높은 관심도와 함께 열풍을 불고있는 앱테크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어느덧 이것은 일시적인 유행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삶의 방식 혹은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는데요. 앱테크에 대한 주요 내용과 왜 우리는 앱테크를 하는 지에 대해서 중요 내용 중심으로 체크해보겠습니다.

 

앱테크 정의

앱테크는 애플리케이션과 재테크의 합성어입니다. 소위말해 스마트폰 어플을 활용하여 돈을 버는 방식이라 설명 할 수 있는데요. 앱테크의 기본 프로세스는 어플 실행 -> 인증 -> 포인트 적립 -> 출금 형태를 이루며 점점 더 다양한 형태로 발전됨에 따라 현재에는 무궁무진한 방법으로 앱테크를 통해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보통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광고를 보거나 설치를 통해 앱실행과 특정 링크에 들어갔을 때에 광고 업체가 수익을 얻는 과정에서 일부분을 앱 사용자에게 적립금 형태로 주고 모인 적립금을 기프티콘, 상품권, 계좌이체(현금)을 통해 교환하는 방식으로 제공하게 됩니다. 이외에도 반복적인 작업을 모바일 앱을 통해 해주고 노동의 댓가로 적립금을 받는 미션형 앱 등 다양한 형태로 점점 더 앱테크 시장도 커지고 있습니다.

 

 

 

 

 

앱테크 종류

앱테크의 대표적인 종류로는 클릭형이 있습니다. 일정 횟수의 클릭을 통해 포인트를 적립하는 형태로 주로 식품 업계에서 자주 활용하는 방식으로 하루 혹은 일정 기간동안 주기적인 클릭을 통해 적립금을 모으기 때문에 뚜렷한 목표와 기간이 정해져있다는 점에서 앱테크 이용자들의 접근성이 높은 편입니다.

 

또다른 종류로는 방치형이 있습니다. '아무것도 하지않고 핸드폰을 꺼두어도 돈을 번다' 라는 컨셉을 통해 대표적인 것으로 돈농사와 방치타임 등이 있는데요. 돈농사의 경우, 해당 컨셉으로 10만 다운로드 이상의 유저를 보유하는 등 마케팅적으로 성공사례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앱테크 방식에 비해 수익이 적다는 단점이 있지만 광고도 없고 딱히 다른 액션을 취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기대 수익이 낮음에도 수요가 많습니다.

 

상시 노출형도 앱테크의 대표적인 종류입니다. 스마트폰을 주기적으로 사용하는 습관을 활용한 컨셉으로 잠금해제를 할 때에 광고를 자연스럽게 보면서 적립금을 주는 형태입니다. 캐시알람과 캐시슬라이드가 해당 앱테크 종류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역시 기대 수익이 높은 편은 아니지만 별다른 액션없이 적립금을 받을 수 있는 방식입니다.

 

미선형출석체크형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미선형은 기업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순 반복작업을 수행하고 일한만큼 보상을 받는 형태로 위에서 언급했던 앱테크와 달리 직접적인 액션이 필요하기 때문에 적립금 역시 상대적으로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로 금융/쇼핑앱에서 활용되는 출석체크형은 기간을 오랫동안 연속에서 출석할 경우, 더 많은 적립금을 제공하며 경품제공을 함께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앱을 계속해서 들어오면서 광고도 노출 시키며 구매를 일으키는 마케팅 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앱테크 하는 이유

MZ세대를 비롯하여 부모님 연령층까지 점점 더 앱테크에 대한 수요와 관심도가 높아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가장 큰 이유는 우리가 점점 인터넷 사용에 익숙하다는 점입니다. 그것은 곧 스마트폰 사용의 시간이 높고 자연스럽게 그것과 관련된 상품들이 증가할 수 밖에 없으며 재테크 역시 발전되고있는 형태라는 것이죠.

 

더불어 시대가 변화하면서 점점 더 젊은 층은 '돈' 자체 보다 비물질적인 가치, 즉 행복을 중요시하는 흐름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앱테크가 단기간 큰수익을 가져다줄 순 없지만 시간과 폼을 크게 들이지않고 조금씩 쌓이는 소소한 수익에도 효율적인 재테크로써의 만족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한 통계에 따르면 성인남녀 약 5,0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무려 75%가 1개 이상의 앱테크를 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더불어 앱테크의 이유로 '자투리 시간에도 생산적인 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 '소액이라도 저축을 하고 싶어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어서' 등이 순서대로 나왔는데 그만큼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수억만금의 큰금액은 아니더라도 비교적 적은 시간을 활용하여 조금이라도 수익 창출을 할 수 있고 적립금이 쌓이면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을 기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